안녕하세요. 이번에는 KOSPI200을 추종하는 ETF중에서 시가총액이 큰 순서대로 3개인 KODEX200과 TIGER200과 KBSTAR200을 비교해보겠습니다. 비슷한 다른 ETF들도 있고 KOSPI200을 추종하는 ETF들이 안좋다는게 아니고 최대한 비교를 단순화하고자 시가총액이 큰 순서대로 3개만 비교해봤습니다. 이 포스팅에 있는 자료는 숫자를 잘못된곳에 타이핑 하거나 내용이 틀릴수도 있으며 2020년 4월24일기준입니다.
바로 아래에 있는 캡쳐화면은 KODEX200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. 제 포스팅은 틀릴수도 있으니 코덱스200 공식사이트로 가서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KODEX200 공식정보페이지로 가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바로 위에 있는 캡쳐화면처럼 이 상품은 KOSPI200지수를 추적하는 상품입니다.
바로 아래에 있는 캡쳐화면은 이 상품에 대한 기본정보입니다.
바로 위에 있는 캡쳐화면처럼 순자산총액은 때와 날짜와 사이트마다 다를수도 있지만 이 상품을 운용하고있는 공식사이트에서는 5조 4986억원으로 나오고요. 상장일은 2002년 10월 14일입니다. IMF이후에 나왔다는건 좀 그렇긴 하지만 금융위기 이전에 나온거니 안정성은 높은거 같습니다.
그리고 총 운용보수는 연0.15%입니다. 그리고 분배금은 배당금 발생시 주는데 1월 4월 7월 10월 마지막 영업일이나 회계기간 종료일이나 회계기간 종료일 바로 그 직전 영업일입니다. 그리고 분배금은 분배금의 15.4%가 세금으로 나갑니다.
바로 아래에 있는 캡쳐화면은 지난 3년간 주어진 배당금 현황입니다.
바로 위에 있는 캡쳐화면에서처럼 2017년 2018년 2019년에는 1월 배당금에 대한 정보가 없습니다. 이 사이트에서는 2017년에는 4월까지밖에 안나와있어서 잘 모르겠긴하지만요. 2017년 4월~10월엔 분배금액의 합이 605원이고 2018년4월~10월에도 605원이고 2019년4월~10월에는 595원입니다. 그리고 2020년 1월은 50원입니다.
그리고 바로 아래에 있는 화면은 KODEX200의 괴리율을 나타낸것입니다.
바로 위에 있는 캡쳐화면처럼 최근 10일간 괴리율이 -0.32%~-0.10%로 매우 안정적임을 알수 있습니다. 아차! 그리고 NAV란 ETF 자산가치에서 운용보수와 부채등등의 기타비용을 뺀 순자산가치를 가리킵니다.
그리고 바로 아래에 있는 캡쳐화면은 TIGER200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. 제 포스팅은 틀릴수도 있으니 타이거200 공식사이트로 가서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TIGER200 공식정보페이지로 가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바로 위에 있는 캡쳐화면처럼 이 상품도 KOSPI200지수를 추적하는 상품입니다.
바로 아래에 있는 캡쳐화면은 이 상품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입니다.
바로 위에 있는 캡쳐화면은 2020년 4월24일 장 종료한뒤의 기본정보입니다. 규모는 2조 9428억 57만 6860원입니다. 최초상장일은 2008년 4월 3일입니다. 이 상품도 역시 IMF이후에 만들어졌다는게 좀 그렇긴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를 버티고 지금까지 온것이니 안정성은 높은거 같습니다. 총 보수는 연 0.05%로 매우 싸네요.
바로 아래에 있는 캡쳐화면은 TIGER200이라는 상품의 과세내용과 분배금에 대한 기본정보입니다.
바로 위에 있는 캡쳐화면에서도 볼수 있듯이 이 상품도 분배금은 분배금중의 15.4%가 세금으로 나갑니다. 이 상품도 분배금 지급기준일이 1월 4월 7월 10월의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이나 화계기간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경우 그 직전 영업일입니다.
바로 아래에 있는 캡쳐화면은 이상품의 2019년1월~2020년 1월의 분배금지급현황표입니다.
바로 위에 있는 캡쳐화면을 보면 2019년 분배금은 620원이고 2020년 1월 분배금은 60원입니다.
바로 아래에 있는 캡쳐화면은 2017년 4월 28일부터 2018년 10월까지의 분배금현황입니다. 원래 이 상품의 분배금 지급현황은 더 있긴 하지만 제 검색능력이 부족해서 KODEX200의 2017년 1월 분배금현황을 찾을수가 없어서 비교 형평성차원에서 2017년 1월 분배금현황은 싣지 않았습니다.
바로 위에 있는 캡쳐화면에서 알수있듯이 2017년 4월~2017년10월까지 분배금 합은 550원이고 2018년 분배금 합은 700원입니다.
바로 아래에 있는 캡쳐화면은 TIGER200의 괴리율을 나타낸것입니다.
바로 위에 있는 화면처럼 최근 괴리율이 -0.28%~-0.05%로 안정적입니다.
바로 아래에 있는 캡쳐화면은 KBSTAR200의 간략한 설명입니다. 제 포스팅은 틀릴수도 있으니 타이거200 공식사이트로 가서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KBSTAR200 공식정보페이지로 가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바로 위에 있는 캡쳐화면처럼 이 KBSTAR200도 KOSPI200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.
바로 아래에 있는 캡쳐화면은 KBSTAR200의 기본정보입니다.
바로 위에 있는 캡쳐화면에 나와있듯이 설정일은 2011년 10월 19일입니다. 2011년에 설정됐다고 하니 IMF와 금융위기 둘다 안겪어본 상품이라서 개인적으로는 잘 모르겠긴 하지만 KB자산운용도 대형금융사에 속하니까 앞으로 위기가 와도 잘 대처할거라 보긴 합니다.
그리고 순 자산은 때와 사이트에 따라 달라질수 있지만 제가 현재 포스팅하는 시점에 이 상품의 공식사이트에 나와있는 정보에는 1조 3610억 7000만원이라고 나와있고 KOSPI를 벤치마킹한다고 되어있고 즉, KOSPI200지수를 추종한다는 뜻과 유사한뜻입니다. 그리고 또한 분배금은 매 1월 4월 7월 10월의 마지막 영업일 기준으로 비정기로 지급된다고 합니다.
바로 아래에 있는 캡쳐화면은 이 상품의 분배금현황입니다.
바로 위에 있는 캡쳐화면에서 나온것처럼 2017년 4월~2017년10월까지는 분배금 합이 585원이고 2018년에는 756원이고 2019년에는 687원입니다. 그리고 2020년 1월에 지급된 분배금은 70원이라고 나옵니다.
바로 아래에 있는 캡쳐화면은 KBSTAR200의 최근 괴리율입니다.
바로 위에 있는 캡쳐화면처럼 -0.32%~-0.12%로 안정적입니다.
그러면 지금까지 KOSPI를 추종하는 대표적인 ETF 3개를 설명했으니 지금부터는 상품들을 비교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바로아래에 있는 표에는 먼저 2017년 4월부터 2018년 10월까지의 분배금을 비교해보겠습니다.
날짜 | 코덱스 200 | 타이거 200 | 케이비스타 200 |
2017년 4월 | 475 | 450 | 470 |
2017년 7월 | 100 | 60 | 20 |
2017년 10월 | 30 | 40 | 95 |
2017년 합계 | 605 | 550 | 585 |
2018년 1월 | 60 | 60 | |
2018년 4월 | 460 | 440 | 460 |
2018년 7월 | 65 | 100 | 105 |
2018년 10월 | 80 | 100 | 131 |
2018년 합계 | 605 | 700 | 756 |
표 작성 관계상 시기별로 분할해서 기록함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.
바로 아래에 있는 표에는 이어서 2019년도 분배금과 2020년 1월까지의 분배금을 알아보았습니다.
날짜 | 코덱스 200 | 타이거 200 | 케이비스타 200 |
2019년 1월 | 100 | 30 | |
2019년 4월 | 465 | 390 | 505 |
2019년 7월 | 60 | 70 | 72 |
2019년 10월 | 70 | 60 | 80 |
2019년 총합 | 595 | 620 | 687 |
2020년 1월 | 50 | 60 | 70 |
2020년 4월분배금이 나올때까지 얼마 남지 않은거 같아서 그때까지 기다렸다 쓰려다가 지금씁니다.
수익률과 수익률 순위는 때와 기준에 따라 달라질수 있기때문에 이 세가지중 수익률이 어느게 더 높은지는 여기에 포스팅을 하지 않았습니다. 이 세가지 ETF의 수익률을 비교하고 싶으시다면 증권검색포털인 세이브로에서 찾아보시면 될겁니다. 그리고 미미한 차이이기때문에 사람에 따라서는 별 의미없다고 생각할수도 있습니다. 그리고 총보수는 코덱스200>타이거200>케이비스타200입니다. 거래량은 코덱스200>타이거200>케이비스타200입니다. 괴리율은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무의미한 수준이고요.
결론은 총보수가 약간 비싸도 거래량이 많고 출시된지 오래된게 좋다면 코덱스200을 하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. 그리고 총 보수가 비교적 싸면서 거래량이 많은게 좋다면 타이거200이 좋을거같고요. 총 보수가 싼게 좋다면 케이비스타200을 하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.
제 포스팅이 정보나 숫자가 잘못됐을수 있으니 반드시 팩트체크를 해보시기 바랍니다. 그리고 저는 어떤 상품이나 종목을 추천하지도 않고 권유하고 싶은 마음도 없습니다. 따라서 제 포스팅은 단순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라며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 그럼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.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<저의 직전 글들을 편하게 보시고 싶은 분들을 위해 직전 글 5개를 링크 걸었습니다.>
외화를 예금하고 적립하는 방법에는 외화예금(통장)만 있는것일까?
KB증권 발행어음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한국투자증권에 있는 발행어음의 종류와 특징에는 어떤것이 있을까?
한국투자증권어플에서 해외증권거래 & 해외ETF거래신청 하는법
DHY라는 ETF란 무엇일까요? 대략적으로나마 알아봤습니다.
'증권 > ETF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츠와 채권을 같이 담은 ETF인 TIGER KIS부동산인프라채권TR ETF (0) | 2020.05.22 |
---|---|
리츠ETF(1)- TIGER부동산인프라고배당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(0) | 2020.05.17 |
배당성장 ETF(2)-VIG에 대해서 대략적으로라도 알아보겠습니다. (0) | 2020.05.16 |
배당성장ETF(1)-DGRO에 대해 대략적으로나마 한번 알아보겠습니다. (0) | 2020.05.16 |
KOSPI200지수 추종 ETF들간의 비교(KODEX200 vs TIGER200 vs KBSTAR200) (0) | 2020.04.26 |
DHY라는 ETF란 무엇일까요? 대략적으로나마 알아봤습니다. (0) | 2020.04.05 |
댓글0